서울시설공단 장애인콜택시

전체시설

컨텐츠

장애인 콜택시란?

  1. 홈
  2. 소개 및 안내
  3. 장애인 콜택시란?

서울시 장애인콜택시는 중증장애인에게 이동편의를 제공하여 장애인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.

장애인콜택시 연혁

  • 2003. 01 : 장애인 콜택시 운행 개시 (100대)
  • 2005. 03 : 이용대상 조정 ※1․2급 지체‧뇌병변, 기타 휠체어 장애인
  • 2006. 01 : 이동지원센터 구축(374백만원)
  • 2010. 09 : 市 소관부서 변경(도시교통본부 보행자전거과)
  • 2007. 08 : 이동지원센터 공단직영
  • 2013. 07 : 장애인전용 개인택시 50대 운행
  • 2015. 01 : 다인승버스 운영(1대), 市 소관부서 변경(도시교통본부 택시물류과)
  • 2015. 04 : 이용대상 확대 ※3급 지체․뇌병변 임산부(병원 진료 목적시)
  • 2016. 09 : 이용요금 조정(단거리 인하,장거리 인상) ※’16.9.5.(월) 시행
  • 2017. 04 : 장애인 편의시설 정보제공 서비스 구축(배리어프리)
  • 2018. 12 : 장애인콜시스템 노후 장비, 차량 신형 네비게이션 도입 운영
  • 2019. 07 : 이용대상 및 특별교통수단 운행 대수 조정 (※「장애인복지법」제32조에 따라 등록한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150명당 1대)
  • 2020. 01 : 서울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에 관한 조례개정 (※특별교통수단 이용대상자 ‘1급 또는 2급 장애인’에서 ‘장애정도가 심한 보행상의 장애인’으로 변경 )
  • 2020. 04 : 장애인콜택시 동․서부 관리소 신설
  • 2020. 06 : 단체이동을 위한 서울장애인버스 운영(2대)
  • 2021. 04 : 팀/관리소 명칭변경 (운행지원팀, 동/서부운행지원사무소)
  • 2022. 11 : 이용대상자 확대(일시적 장애) 시범사업 시행(~26.10.31.)
  • 2023. 09 : 바우처택시 개선(요금: 택시비25%->장콜동일요금), 티머니 앱 배차 연계(‘24.9부터)
  • 2023. 12 : 수도권 광역이동지원 시행
  • 2025. 08 : 와상장애인 전용특별교통수단 시행(~27.8.10.)

차량현황

총 699대 : 장애인콜택시 692대, 다인승 버스 4대, 서울장애인버스 3대  *개인택시 30대

슬로프 사진 다인승미니버스 사진
슬로프(692대)

다인승미니버스(4대)

리프트

서울장애인버스(3대)

개인택시 30대

운영체계

콜접수 → 배차 → 서비스(고객거주지 도착 → 목적지 이동/도착)

  • ① 콜접수 : 이용시민이 전화/문자(1588-4388), 인터넷 또는 앱을 통해 차량 신청
  • ② 배차 : 자동배차 차량 연결
    • - 이용시민에게 차량연결정보 안내(문자+카카오톡)
    • - 운전자에게 탑승자정보 제공(네비게이션)
  • ③ 서비스(운행) : 차량이 이용시민 출발지로 이동→ 탑승→ 목적지까지 운행

[전화/문자][인터넷][앱]↔①↔콜센터↔②↔차량↔③↔목적지. 차량→GPS(차량위치정보)→콜센터

관련근거

  • 장애인복지법 제23조(편의시설)
  • 여객 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제103조제5호
  • 서울특별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에 관한 조례
OPEN 공공누리 | 출처표시+상업용금지 |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

컨텐츠 담당자 및 만족도 평가

담당부서 :
장애인콜택시운영처
담당팀 :
운영팀
전화 :
1588-4388

컨텐츠 만족도 평가